본문 바로가기
재테크_주식

폐배터리 관련주 TOP 10 배터리 재활용 테마주 대장주. 해당 종목이 테마주인 이유 요약

by 파랑얼음 2022. 3. 8.
반응형

폐배터리관련주와 설명은 아래 목차에 있습니다.

폐배터리 테마 개념:

폐배터리 관련주-리튬가격 상승으로 인한 폐배터리 관련 테마가 주목

폐배터리 시장전망

배터리의 핵심인 리튬의 가격이 계속적으로 상승.-> 원자재 가격 상승-> 배터리 가격 상승

=> 폐배터리 시장에 대한 기대감 상승

 

에너지 시장 조사 기업인 SNE 리서치에서는폐배터리 시장이 2030년까지 20조 2천억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 2050년에는 2200만 대의 전기차 판매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예상

 

전기차 공급과 수요가 커지는 판국에 전기차 안에 들어가는 배터리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배터리 가격이 상승하게 생김.

고로 폐배터리 산업은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계속적으로 관심받을 수 있는 테마.

 

현 상황

리튬의 가격은 2020년도 저가 대비 40% 상승,

니켈 가격은 50% 가까운 상승,

배터리 양극제 원료인 코발트는 1년 만에 120% 상승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해 러시아의 비철금속의 공급이 떨어지자 각종 비철금속의 가격이 급증

=> 폐배터리 관련주는 원자재 가격이 오르면 수혜를 받는 테마라고 볼 수 있다.

 

배터리 재활용 테마주

◾ 디에이테크놀로지

 

(1) 주요 제품
당사는 2차 전지 생산 자동화설비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2차전지 생산공정은 크게 전극 공정, 조립공정, 그리고 활성화 공정으로 이뤄집니다. 전극 공정은 양극(Cathode), 음극(Anode) 극판을 만드는 공정이며, 조립공정은 각각의 전극과 원재료를 가공 및 조립하여 완성품을 만드는 공정이며, 활성화 공정은 조립이 완료된 전지를 충방전 하여 전기적 특성을 부여하고 전지의 품질검사 및 선별하는 공정입니다.

당사는 이 중 조립공정과 활성화 공정을 위한 2차 전지 생산자동화 설비를 제작하고 있으며, 조립 공정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소형/자동차 폴리머 전지 조립의 핵심공정에 해당되는 노칭(Notching) 장비와 폴딩(Folding) 장비, 스태킹(Stacking) 장비를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폐배터리 관련주인 이유:자동차 폐배터리 재활용 공정 중 팩과 모듈을 자동 분해 및 분리하는 자동화 시스템 기술 분야를 신규 사업으로 추진 중.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 진출

 

◾ 두산중공업

 

당사는 산업의 기초 소재를 생산하는 주조/단조부터 원자력, 화력 등의 발전설비, 해수담수화 플랜트, 화공플랜트, 환경설비 및 연료전지 등 신재생 관련 기자재 등을 제작하여 국내외 플랜트 시장에 공급하는 대표적인 발전설비 제작 및 시공하는 전문 기업입니다. 

 

  사업별로 보면 원전의 핵심 설비와 핵연료 취급 설비, 핵연료 운반 용기(Cask) 및 원자로 계통 보조기기의 대부분을 제작하여 공급하고 있고, 국내외 화력발전소에
핵심 주기 기를 공급하고 있으며, 
해수담수화의 다단증발법(MSF), 다중효용 증발법
(MED) 및 역삼투압법(RO) 세 가지 프로세스 기술의 턴키방식으로 담수화 플랜트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플랜트의 설계에서 기자재 제작, 설치, 시공, 시운전까지의 전
과정을 일괄 수행하는 EPC 사업과 장기유지보수 서비스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우수한 주조 및 단조 설비/ 역량을 바탕으로 발전설비 소재를 비롯 선박,
제철, 금형공구강 및 각종 산업설비용 
대형 주단조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가스터빈, 풍력, 태양광, 수소, 연료전지 등
과 같은 친환경에너지 사업을
중심으로 사업을 전환해 나가고 있습니다.
  그밖에 건설기계, 농업/조경용 소형장비, 산업차량에 대해 국내, 북미와 유럽에 주요 시설을 두고 생산 및 판매를 영위하고 있습니다.

 

폐배터리 관련주인 이유:21년 5월 폐배터리를 재활용해 탄산리튬을 회수하는 기술 개발 성공하고 사업화를 준비 중

 

◾ 영화테크

 

당사는 자동차용 정션박스, 전기차 전력전자부품/모듈 등을 자체 개발/제조하여 국내외 자동차 OEM사 및 글로벌 부품사에 공급하는 회사로서, 한국에 본사 및 생산공장, 중국에 현지 생산법인 및 상해 Sales & Engineering Center, 미국 등 현지법인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정션박스는 자동차 전체 부품 중 약 40%~50%가량을 차지하는 전장부품에 전원 및 신호를 공급/분배하고, 회로 보호 기능을 하는 필수 시스템 안전 기능 부품으로써, 내연기관 차량뿐 아니라 전기차, 수소 전기차량 등에도 공급되는 등 정션박스의 단가 상승 및 차량별 장착 개수 증가 등 시장 확대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PCB 타입의 정션박스부터 CAN 통신 기능을 포함한 스마트 정션박스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경차부터 준중형 차량, 럭셔리카 및  버스나 트럭 등 상용차에 이르기까지 전 차급에 걸쳐 국내 자동차 5사는 물론 해외 유수의 OEM사에 정션박스를 자체 개발, 양산 공급 중에 있습니다.

당사는 전력전자 제어기술을 기반으로 전기차 관련 소자 부품부터 전력 변환 관련 핵심 부품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Converter, BDU(Battery Disconnection Unit), OBC(On Board Charger), PRA(Power Relay Assembly), DC-Filter, HV-SSR(Solid State Relay)등 전기차/이차전지 전력변환 관련 핵심 부품들을 자체 개발, 국내외 유수의 자동차 및 전자 OEM 사에 공급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모터 컨트롤러 등 각종 전력전자부품/모듈 등을 개발 및 공급 추진 중에 있습니다.

 

폐배터리 관련주인 이유:폐배터리 재활용 사업 영위

 

◾ 원준

현재 당사는 각종 첨단소재 생산을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열처리 소성로 장비를 제조 및 판매하는 사업과 소재의 생산 공정에 대한 EPC(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 Turn Key 설루션을 제공하는 공정 설비 엔지니어링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제작하여 납품하는 열처리 소성로 장비는 투입된 원재료를 열과 가스로 화학반응시켜 원하는 특성을 가진 소재를 생산할 수 있게 해 주는 장비로, 생산 소재의 품질과 생산성을 결정하는 핵심 공정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EPC Turn Key 설루션은 고객사가 생산하고자 하는 소재의 특성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바탕으로 원료 공급 및 혼합부터 제품 포장에 이르는 전체 소재 생산 공정에 대한 설계, 제작, 구매, 시공, 시운전 서비스를 일괄로 제공하는 설루션입니다.

 

폐배터리 관련주인 이유: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설루션 공급

 

◾ 웰크론한텍

 

연결회사는 물, 에너지, 환경 분야 플랜트 전문 제조 및 종합건설을 주영업으로 하는 웰크론한텍(지배회사)과 바이오매스 발전소 건설, 생산, 판매사업을 영위하는 IMARI GREEN POWER CO., LTD(종속회사)중국 현지 시장 진출을 위한 홍콩법인 Global Star Hong Kong Co., Limited(종속회사)와 중국법인인 Shanghai Yingji International Co., Ltd(종속회사), 건축설계, 감리 및 CM사업을 영위하는 동원 건축사사무소(종속기업), 공동자원화 사업을 영위하는 해들녘(종속회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사업은 크게 플랜트 부문과 건설부문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플랜트 부문은 식품제약 설비, 농축·결정·중류·건조 설비, 환경설비(폐수처리 설비, 음식물/축사폐수 자원화 설비, 정수·폐수 재이용 설비, 해수담수화 설비, 슬러지 건조설비), 에너지 발전 설비(폐기물 에너지화, 바 오이 매스 연료화 , 태양광 발전 등)를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건설부문은 일반건축(업무시설, 상업시설 등), 개발사업(오피스텔, 타운하우스 등), 산업시설(생산·제조시설, 물류시설 등), 공공/토목(관공서, 택지·산업단지 등) 분야에 풍부한 공사 수행 경험 및 종합사업수행능력, 설계, 엔지니어링 기술력을 바탕으로 일반 도급공사뿐만 아니라 기획, 설계, 견적, 구매, 시공 및 유지관리, 감리 등 일괄 Turn-Key공사(EPC) 전문 건설 회사로 One Stop Service 체계를 수립하여 고객을 위한 Total Solution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폐배터리 관련주인 이유:폐배터리 재활용 과정에서 사용되는 양극재 소재 결정화 설비 공급

 

이지트로닉스

 

당사는 2008년 설립된 이후 전력 변환 기술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전기자동차, 수소자동차, 방산 소형 전술형 통신차량과 5G 통신장비용 제품을 개발하여 국내외 완성차업체, 통신업체와 국방부에 납품하여 제품 상용화에 성공하였고, 상용화 영역을 방산용 무인차량 제품 개발과 신재생에너지용 DC배전과 폐배터리 재사용을 위한 제품 개발/실증운영 등으로 확대하여 친환경 에너지 시스템 대표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08년에 설립되어 전력 변환제품의 연구개발을 시작하여 제조 및 판매로의 역량을 확장하였으며, 이 제품의 응용분야인 전기/수소자동차, 통신, 방산, 의료분야 및 신재생에너지 산업군에 접목되어 다양한 사양의 제품들을 상용화하였습니다. 특히 2009년 이후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수행하였고, 그 성과로 친환경자동차용 전력변환 핵심부품이 개발되어 시제차량에 탑재되는 성과를 달성 하였습니다.

당사의 주요 개발/생산제품은 전력 변환 부품으로 친환경산업(전기차/수소차, 신재생에너지), 이동통신, 방산, 선박, 의료장비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됩니다.

당사에서는 과거 선박의 BWTS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평형수 처리 시스템)에 적용되어 평형수의 미생물 처리 시스템의 전력 변환 장치를 개발/생산/공급한 이력이 있으며, 의료장비인 X-ray에 적용되어 X-ray를 찍기 전 전력을 모아 한 번에 발산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 변환장치를 개발/생산/공급해오고 있습니다. 

 

폐배터리 관련주인 이유:현대차와 폐배터리 공동 프로젝트 진행. 

 

◾ 인선이엔티

 

당사는 건설폐기물  수집ㆍ운반 및 중간처리, 폐기물 최종 처분사업, 자동차 해체 재활용 사업, 자동차 파쇄 재활용사업 등 친환경 자원 재활용(Recycling) 및 처리사업을 영위하는 환경친화적 기업입니다. 건설폐기물 분야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비계구조물 해체에서부터 건설폐기물의 수집ㆍ운반 및 중간처리, 순환골재 생산, 소각 및 스팀판매, 폐기물의 최종 처분(매립)까지 폐기물 일괄처리 기술 및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폐기물 재활용 및 처리사업 인프라를 기반으로 자동차 재활용 사업에 진출하여 사업의 효율성 및 수익적 기대 가치를 높이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는 최고의 환경 기업으로 발돋움하고 있습니다.

 

폐배터리 관련주인 이유:자회사 인선모터스가 소형 2차 전지의 '중소형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진압 매트 출시함. 또한 버려진 차들을 수리해서 다시 판매하거나 버려진 차량부품 골라내어 수익창출

 

코스모화학

 

당사는 대표적인 백색안료인 이산화티타늄을 제조 및 판매하는 국내 유일의 회사입니다. 이산화티타늄은 대표적인 백색안료로서 플라스틱, 도료, 고무, 제지 등 실생활에 널리 적용되는 무기화합물이며 안료용 뿐만 아니라 화학섬유의 광택 제거 및 내마모 성향 상제, 전자적 특성을 이용하여 전자재료, 유리, 용접봉 피복제 등 그 쓰임새가 광범위하여 우리 실행 활에서 항상 접하는 제품입니다.

 

폐배터리 관련주인 이유:2차 전지 폐배터리에서 핵심 양극소재인 유가금속을 추출하는 최신 공법 개발 완료, 특허 출원

 

◾ 파워로직스

 

당사는 2차전지 보호회로 및 배터리팩을 제조하는 ES(Energy Solution) 사업부문과 카메라모듈을 제조하는 CM(Camera Module) 사업부문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2 차 전지용 보호회로는 Li-ion 전지의 과충전, 과방전 등을 차단 제어함으로써전지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자회로 부품으로서, Mobile IT 기기 등에 사용되어 배터리의 폭발을 방지하고, 다양한 기기의 효율적이고 안전한 운용 및 성능 향상을 위해 2차전지에 채용되는 필수적이면서 핵심적인 부품입니다.

2차전지용 보호회로는 일본 업체가 국내 시장 및 세계시장을 독점 공급하여 왔으나, 1990년대 후반 당사를 중심으로 국내 기업의 제품 개발 성공으로 본격적인 국산화의 길을 열어 스마트폰과 노트북용 보호회로의 국내 수요량 상당 부분과 해외업체까지도 당사를 필두로 국내 업체가 공급하고 있습니다.

카메라 모듈은 광학, 기구, 센서 응용, S/W 등 복합적인 기술이 요구되는 사업으로 당사는 2004년 하반기부터 카메라모듈 사업에 신규 진입하였습니다. 현재는 세계 최고 수준 스마트폰 업체의 1차 협력사로서 보급형 모델부터 프리미엄급 고화소 고기능 모델까지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하여 양적, 질적 성장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카메라모듈 사업은 보호회로 사업과 함께 당사의 핵심 주력사업으로서 확실한 자리매김을 하고 있습니다.

 

폐배터리 관련주인 이유:현대차 그룹과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 진행

 

◾ 하나 기술

당사는 조립공정, 화성공정, Pack 조립공정 장비 및 검사장비를 제작 납품하고 있으며, 특히 조립공정과 화성공정은 Full-Line 자동화 장비를 제작하는 탁월한 기술 수준에 있습니다.

현재 극판 공정 장비로는 레이저 노칭 장비와 레이저 커팅장비 등 일부 장비를 제작하고 있으나, 2021년 내에 극판 공정의 핵심장비를 추가 개발하여 국내 유일의 이차전지 양산 Full-Line 장비 제작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입니다.
당사는 현재 주력사업인 이차전지 장비 분야의 사업 고도화에 집중하는 한편 지속적인 기업성장을 견인할 성장 로드맵의 일환으로 재생배터리 장비 사업과 디스플레이 가공 장비 사업을 신규사업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폐배터리 관련주인 이유:리튬이온 배터리 리사이클링 사업의 핵심장비인 '팩 모듈 방전 설비' 공급

 

◾ 현대차

당사와 연결 종속회사(이하 연결실체)는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의 제조 및 판매, 차량 정비 등의 사업을 운영하는 차량 부문과 차량 할부금융 및 결제대행업무 등의 사업을 운영하는 금융부문 및 철도차량 제작 등의 사업을 운영하는 기타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폐배터리 관련주인 이유:폐배터리를 회수해 ESS로 재사용하거나 유기금속을 추출하는 폐배터리 순환 체계 구축 추진 중

 

◾ LG에너지 설루션

 

당사는 1996년 리튬 이온 배터리 연구 개발 시작하였으며 EV 시장의 시작부터 함께하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하며 끊임없는 연구개발과 신제품 출시 및 품질 혁신을 통해 한국의 에너지 설루션 산업을 대표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였습니다. 국내는 물론 세계 주요 거점에 생산, 판매, R&D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전세계를 대상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향후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배터리 시장에서 '가치 있는 기업'으로 영속하기 위해 사업의 내실을 다지고 품질, 미래준비, Sustainability 추진을 지속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당사는 현재 EV, LEV, ESS, IT기기, 전동공구 등에 적용되는 전지 관련 제품의 연구, 개발, 제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에너지솔루션 단일 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021년 3분기 기준으로 약 13조 4,125억 원의 매출을 달성하였으며, 약 6,927억 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하였습니다. 당사의 주요 매출처는 자동차 OEM 업체로서 주요 5대 매출처에 대한 매출 비중은 약 47% 수준입니다.

 

폐배터리 관련주인 이유:폐배터리에서 추출한 자원 재사용

 

◾ LG화학

 

폐배터리 관련주인 이유:자회사 LG에너지 설루션, 미국 재활용 업체인 ‘리-사이클(Li-Cycle’)과 미국 합작공장의 폐배터리 재활용 협약 체결

 

◾ NPC

 

1965년 5월에 설립된 플라스틱 물류 가지재 기업. 컨테이너, 팔레트, 환경제품 등의 산업용 플라스틱을 생산 및 판매

 

폐배터리 관련주인 이유:21년 9월 현대글로비스와 전기차 배터리 운송용기 특허 공동 출원

 

◾ POSCO

회사는 사업의 성격에 따라 4개의 부문(철강, 무역, 건설, 기타)이 있으며, 연결대상 회사는 총 167개사입니다. 철강부문의 연결대상 회사는 포스코, 포스코강판(주)국내 2개사를 비롯하여 중국 POSCO (Zhangjiagang) Stainless Steel Co., Ltd., 해외 가공센터 등 해외 61개사를 포함하여 총 63개사입니다. 포스코는 열연, 냉연, 스테인리스 등 철강재를 포항제철소와 광양제철소에서 생산하고 있습니다. 포스코강판은 표면처리 강판 제조 전문기업이며, 스테인리스 강판 제조/판매사인 중국 POSCO (Zhangjiagang) Stainless Steel Co., Ltd. 과 철강재 가공/판매하는 해외 가공센터 등이 있습니다.

 

폐배터리 관련주인 이유:자회사 포스코 HY클린 메탈, 폐배터리 재활용사업 영위

 

◾ SK이노베이션

 

SK이노베이션은 GreeEnergy & Materials Company로서 SK에너지, SK지오센트릭(舊SK종합화학), SK루브리컨츠, SK인천 석유화학, SK트레이딩 인터내셔널, SK 아이 이테크 놀로지와 같이 6개의 주요 자회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석유탐사 및 개발부터 석유화학제품 생산에 이르는 수직계열화로 석유·화학 사업의 밸류체인을 구축하였으며, 배터리·소재 분야에·소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친환경 포트폴리오 비중을 확대해나가고 있습니다. 당사의 매출액은 석유사업 64%, 화학사업 21%, 윤활유 사업 7%, 배터리 사업 6%, 소재사업 그리고 석유개발 사업 및 기타 사업 2%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폐배터리 관련주인 이유:수산화리튬 회수 기술을 자체 개발해 54건의 특허 출원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