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식품, 유흥 분야에 종사할 경우에는 건강 진단 항목에 따라서 보건증이 필요하다.
수능이 끝나고 본격적인 알바자리를 구하려고 한다면 보건증 발급은 필수이다.
예전에는 보건소에서 검사를 받은 후 며칠 후에 다시 찾아가서 보건증을 직접 받아오는 형태였지만
이제는 보건소에 다시 한번 더 안 가고 온라인으로 보건증을 발급받을 수 있다.
보건증 발급 방법 (예전)
1. 보건증에 방문하여 검사를 받는다. 검사가 끝나고 알려주는 날짜에 직접 찾으러 간다.
신분증과 보건증 발급 수수료 3000원을 준비해서 근처 가까운 보건소에 간다.
접수를 하고 건강진단결과서를 작성한 후 폐 엑스레이 사진 찍고 전염성 피부검사와 항문에 면봉을 조금 넣었다 뺀 후에 결과를 기다린다.
보건증 발급을 위해 해야 하는 검사는 폐결핵 검사, 전염성 피부질환 검사, 장티푸스 검사이다
보건증 발급은 보건소의 상황에 따라서 다르지만 대략 4~5일이 걸린다.
보건증 온라인으로 발급받는 방법
1. 공공보건 포털 홈페이지에 접속한다.
https://www.g-health.kr/portal/index.do
2. 홈페이지를 들어가면 오른쪽 상단에 증명서 발급 아이콘이 있다. 클릭
3. 클릭을 하면 온라인 재발급 시스템 페이지가 나온다.
보건증, 건강진단서, 채용신체검사서, 예방 접종증명서, 진료비 납입 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다.
4. 핸드폰이나 공인인증서로 본인인증을 한 후에 보건증을 발급받으면 된다.
보건증 재발급 방법
검사받은 지 1년이 지나가면 보건소에 가서 다시 검사를 받아야 해서 재발급은 불가능하다.
1년이 안 지났다면 300원의 수수료를 내면 재발급이 가능하다.
반응형
'취준 정보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취업 준비 할 때, 이용해야 하는 데이터 정리 (0) | 2021.07.19 |
---|---|
취업준비 시작-자소서 잘 쓰는 방법 (0) | 2021.07.15 |
취업준비 시작-자소서 확인 사항 정리 (0) | 2021.07.15 |
취업준비 시작-자소서 작성시 확인해야하는 사항 (0) | 2021.07.15 |
취업준비 시작-자소서쓰기전 해야 할 것 (0) | 2021.07.14 |
댓글